FPGA 12

FPGA 검증

반도체 설계는 프로그램이나 어플과 달리 팹아웃을 하면 수정이나 업데이트를 할 수 없어서 여러 번의 검증을 거칩니다. 먼저 RTL 시뮬레이션을 통해 칩에 들어가는 IP들의 function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그리고 FPGA 합성을 해서 실제 물리적으로 잘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Synthesis 이후에 Post-sim을 하고 chip이 나오면 chip level test를 진행합니다, Pre-sim은 요즘에 잘 안 한다고 하더라구요. ASIC 설계 flow와 FPGA에 대한 설명은 다른 글에서 자세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아직 저도 잘 몰라요;;) 이 글에서는 FPGA 검증의 전체적인 flow만 작성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쨋든 RTL 설계를 하면 합성을 위해 RTL freeze를 할..

Ch2 업무 2023.09.05

OJT 4. FPGA 합성

반도체 설계는 여러 단계를 통해 검증 검증 검증, 또 검증을 반복합니다.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앱을 만들어서 출시한 뒤에 뭔가 오류를 발견하면 수정해서 업데이트를 하면 되지만 반도체는 한번 만들고 Fab out 하면 TSMC 같은 팹에서 정해진 수량만큼 생산하는 동안 수정이 안됩니다 ㅎㄷㄷ....... 업데이트가 없어요!! 그래서 시뮬레이션과 waveform 등으로 기능을 검증하고 FPGA로 실제 칩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FPGA는 따로 정리를 해야겠지만 간단히 말하면 수정이 가능한 반도체를 말합니다. 저는 FPGA로 7 segment 작동을 시켜보라는 미션을 받았어요. 0에서 9까지 1초에 1씩 올라가는 걸 반복하는 동작을 하는데, start를 누르면 시작하고 stop을 누르면 멈추고 rstn..

Ch2 업무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