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6

파일의 특정 문자열 찾기 (grep)

리눅스에서 grep은 검색할 문자열을 지정하여 그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을 찾아 그 문자열을 포함한 행을 찾아주는 명령어이다. 다른 명령어와의 조합으로 여러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기본 사용법grep [옵션] [문자열] [파일명]ex) grep 'abc' [파일명] : 특정 파일에서 abc 문자열 찾기 - 옵션 설명-c : 일치하는 행의 수 출력-i : 대소문자 구별 x-v : 일치하지 않는 행만 출력-n : 포함된 행의 번호 함께 출력-l : 패턴이 포함된 파일 이름 출력-w : 단어와 일치하는 행만 출력-x : 라인과 일치하는 행만 출력-r :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파일에서 검색-m 숫자 : 최대로 표시될 수 있는 결과 제한-E : 찾을 패턴 정규 표현식으로 찾음-F : 찾을 패턴 문자열로 찾음 ..

etc./리눅스, git 2023.09.01

CentOS에서 작업 환경 세팅

반도체 설계 시 시놉시스나 케이던스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합성 툴은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리눅스 환경을 사용한다. - Workspace 이동 방법CentOs에는 여러개의 workspace가 있는데 한 workspace에서 여러개의 창을 띄워놓고 창을 이동할 때는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alt + tab을 사용하면 된다. workspace간의 이동은 ctrl + alt + 위/아래 화살표를 사용하면 워크 스페이스를 이동할 수 있다. - 창 이동 방법한 workspace에서 작업을 하다보면 여러 창을 띄워놓고 일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창 정리하는데 마우스를 사용하면 불편한 점이 많다. 윈도우 + 화살표 키를 통해 창을 쉽게 정리할 수 있다. windo..

etc./리눅스, git 2023.08.30

리눅스 압축

리눅스에서 파일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tar 압축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 tar 압축 해제tar -xvf [파일명.tar] - tar.gz 압축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 tar.gz 압축 해제tar -zxvf [파일명.tar.gz] OptionDescription-c파일을 tar로 묶음-p파일 권한을 저장-v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f파일 이름을 지정-C경로를 지정-xtar 압축을 풂-z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etc./리눅스, git 2023.08.04

리눅스 find 사용

- 리눅스 find 사용 방법find [경로] [옵션] [대상] ex) find . -name "*bias*" 현재 위치에서 이름에 bias가 들어가는 모든 파일 찾기 [옵션] P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 사용 L :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 사용 H :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 D : 디버그 메시지 출력 [표현식] name : 해당 이름 파일 검색 type : 해당 타입 파일 검색 user : 해당 유저의 파일 검색 empty : 빈 디렉토리나 크기가 0인 파일 검색 delete :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 삭제 exec : 해당 파일에 지정된 명령 실행 path : 지정된 문자열 패턴에 해당하는 경로..

etc./리눅스, git 2023.08.02

OJT 2. testbench 작성

1. Checklist 작성 어떤 모듈에 대한 test를 하려면 먼저 체크리스트를 작성해야 합니다. I2C standard에도 나와있는데 Standard-mode, Fast-mode, Fast-mode Plus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모듈에 timing 세팅하는 레지스터가 있는데요, 내가 설정했던 대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야겠죠? 마스터모드, 슬레이브모드 설정가능하고 7-bit / 10-bit address mode 확인해야 합니다. (DMA는 아직 몰라서 넘김,,,,) 그리고 모듈의 레지스터들의 기본값이 제대로 읽히는지, Writeable 한 경우 입력한 대로 값이 설정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 숙제였던 Data Loopback test로 마무리했어요. 2. Block diagram 그리..

Ch2 업무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