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RAM 4

RRAM에 대하여 - 2 특성 (3) Retention, Endurance

- Retention test RRAM은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로 Long-term-memory(LTM)으로 사용됩니다(같은 말이긴 하네요). 그러면 소자를 set 시킨 뒤 LRS(low-resist-state)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래서 set 시킨 뒤 소자의 저항을 모니터링하는 test를 하는데, 이를 retention test라고 합니다. Test result는 x축이 시간, y축이 저항(or conductance or current)을 plot 합니다. 물론 같은 read voltage에서 측정해야 하고, 소자에 영향을 주지 않을 만큼 낮은 전압이어야 합니다.(저는 0.1V에서 측정했습니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STM(short term memory)와 LTM의 retent..

etc./연구 2023.12.14

RRAM에 대하여 - 2 특성 (2) PD test

지난 글에 이어 RRAM 측정 방법 중 PD(potentiation/depression) tes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08.29 - [etc.] - RRAM에 대하여 - 2 특성 (1) DC sweep RRAM에 대하여 - 2 특성 (1) DC sweep RRAM을 측정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DC sweep과 PD test가 있습니다. - 측정 방법 이전 글에서 RRAM은 MIM의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물론 RRAM 소자를 회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crossba veriln-e.tistory.com - PD test PD test는 pulse로 소자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Pulse test라고도 불렀습니다. 이름 그대로 DC sweep이 아니라 소자에 pulse를 가해 측정..

etc./연구 2023.12.11

RRAM에 대하여 - 2 특성 (1) DC sweep

RRAM을 측정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DC sweep과 PD test가 있습니다. - 측정 방법 이전 글에서 RRAM은 MIM의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다고 설명드렸습니다. 물론 RRAM 소자를 회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crossbar array라는 구조로 만들어야 하지만, 단일 소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위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소자를 만들어도 됩니다. 적정한 크기로 자른 (1cm x 1cm) Bare wafer위에 BE(Bottom Electrode)와 oxide를 깔고, 그 위에 TE(Top Electrode)를 패터닝하여 증착하면 끝입니다.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Probe contact을 해야겠죠?? TE은 바로 contact 하면 되고 BE는 전체적으로 증착되어 있는 Oxide를 Diamond ..

etc./연구 2023.08.29

RRAM에 대하여 - 1 작동 원리

ReRAM이라고도 하는 R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는 memristor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Memristor가 뭔지 알아봅시다. - Memristor Memristor는 Memory와 Resistor의 합성어로 저항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합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고, 전력 효율이 좋으며 집적도가 좋은 memristor는 기존의 von-Neumann architecture의 한계를 해결한 Neuromorphic computing에 사용될 수 있어서 차세대 메모리 중 하나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중 RRAM은 ECM(Electrochemical metallization mechanism)과 VCM(Valence change..

etc./연구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