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0

[Python] 함수에 대하여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자주 사용하는 코드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코드를 매번 넣어주게 되면 전체 스크립트가 매우 복잡해지고 길어지게 됩니다. 이럴 경우 함수를 정의하여 코드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 함수 정의와 활용 방법 def를 통해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변수를 입력받아 합한 값을 출력하는 함수를 정의해봅시다. #함수 definition def add(x1,x2) : result = 0 result = x1 + x2 return result 이렇게 함수를 선언하면 앞으로 작성하는 코드에서 위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definition def add(x1,x2) : result = 0 result = x1 + x2 return result #실제 동작 코드 a ..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3

이 글로 문자열에 대한 파트를 마무리할까 합니다. 문자열에 대한 다른 설명은 이전 글을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2023.11.29 - [프로그래밍/Python] -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1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1 - 문자열 설명 문자열은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a = "엄마가 섬그늘에" print(a[0]) print(a[1:5]) print(a[-2]) print(a[-6:-3]) >> 엄 >> 마가 섬 >> 늘 >> 가 섬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더하기)나 '*'( veriln-e.tistory.com 2023.12.01 - [프로그래밍/Python] -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2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2 지난 글에 이어 문자열..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2

지난 글에 이어 문자열에 활용할 수 있는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11.29 - [프로그래밍/Python] -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1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1 - 문자열 설명 문자열은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a = "엄마가 섬그늘에" print(a[0]) print(a[1:5]) print(a[-2]) print(a[-6:-3]) >> 엄 >> 마가 섬 >> 늘 >> 가 섬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더하기)나 '*'( veriln-e.tistory.com - 문자열 함수 활용 방법 3. 공백 strip: 공백 제거(문자열 앞, 뒤에 있는 공백만 제거 가능, 중간에는 불가) rstrip: 문자열 뒤에 있는 공백 제거 lstrip: 문자열 앞에 있는..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1

- 문자열 설명 문자열은 리스트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a = "엄마가 섬그늘에" print(a[0]) print(a[1:5]) print(a[-2]) print(a[-6:-3]) >> 엄 >> 마가 섬 >> 늘 >> 가 섬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더하기)나 '*'(곱하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a = "엄마가 " b = "섬그늘에" print(a*3) print(a+b) >> 엄마가 엄마가 엄마가 >> 엄마가 섬그늘에 또한 for문을 활용하여 문자열을 더 쉽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문자 사이에 콤마(,)를 집어넣어 봅시다. #len: 리스트나 문자열의 길이를 알게 해주는 함수 a = "엄마가 섬그늘" length = len(a) for i in range (0,length) ..

[Python] 딕셔너리에 대하여

- 딕셔너리(dictionary) 설명 딕셔너리는 {}로 묶여있으며 '키'와 쌍을 이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딕셔너리 = {key1:value1, key2:value2, key3:value3, ...} a = {1:'a', 2:'b', 3:'c'} b = {'a':1, 'b':2, 'c':3} c = {1:'a', 'b':2, 3:'c'} print(a) print(b) print(c) >> {1: 'a', 2: 'b', 3: 'c'} >> {'a': 1, 'b': 2, 'c': 3} >> {1: 'a', 'b': 2, 3: 'c'} 위의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키와 값은 숫자도 될 수 있고 문자도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런 딕셔너리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딕셔너리는 말 그대로 사전입니..

LIN IP 설계

제가 FPGA 검증을 담당하는 과제의 끝이 보이네요;; 내년 1~2월에 tape out을 한다는데 조금 더 고생을 해야겠습니다!! 라고 생각했던 때가 있었죠;; ^^ 새로운 과제가 시작댓네여 하하//// 엄마 아무래도 전 이 길이 아닌듯해요, 죄송함다 ㅠㅠ 쨋든 새로운 과제가 시작됐는데 저는 차량용 통신인 LIN controller ip 설계를 맡게 됐습니다. 원래는 외주를 맡겨서 검증만 하기로 했는데 검증하다 보니 거의 수정해야 해서 그냥 다시 설계하게 되더라구요;;; ^^ 검증을 하든 설계를 하든 먼저 IP에 대해 알아야겠죠?? 그래서 LIN protocol specification을 꼼꼼히 읽으면서 공부했습니다. LIN이 단순한것 같으면서도 여러 function들이 있더라구요. 공부한 내용들은 아래..

Ch2 업무 2023.11.24

[Python] 튜플에 대하여

- 튜플(tuple) 설명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는데, 첫 번째로 []가 아닌 ()를 쓴다는 것입니다. #리스트 선언 a = [1,5,2,4] #튜플 선언 a = (1,5,2,4) 다음으로는 리스트는 값을 수정할 수 있지만 튜플은 값을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프로그램이 진행될 때 값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튜플을 사용하면 됩니다. 값을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리스트 대비 적은 메모리를 쓰고, 그에 따라 프로그램 속도가 빨라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만약 튜플에 변수 값이 1개만 있다면 ,로 마무리해야 합니다. a = ()#비어있는 튜플 a = (1,)#값이 1개인 튜플 값을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리스트를 수정하는 함수인 append나 insert 함수를 사용..

[Python] List에 대하여 - 2

이번에는 지난 글에서 언급한 리스트를 활용하는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리스트 관련 함수 1. del 함수 del은 리스트의 지정된 변수를 삭제하는 함수입니다. 사용방법은 del(리스트[index])입니다. a = [1,2,3,4,5,6,7] print(a) del(a[5]) print(a) del(a[1],a[2]) print(a) 2. pop 함수 pop은 리스트의 제일 마지막 변수를 삭제하는 함수입니다. del과 달리 마지막 값만 제외합니다. 사용방법은 리스트.pop()입니다. a = [1,2,3,4,5,6,7] print(a) a.pop() print(a) [1,2,3,4,5,6]이 출력됩니다. 3. remove 함수 remove는 리스트에서 지정한 값을 지웁니다. 사용방법은 리스트.re..

[Python] List에 대하여 - 1

- List 설명 리스트는 변수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위의 그림을 예시로 설명해 보자면, 변수 4개를 쓰고 싶으면 일일이 선언을 해줘야 하죠??(변수 a, b, c, d) 그리고 각각의 변수에 숫자나 문자나 불리언 값을 대입하여 사용했습니다. 리스트는 위와 같이 변수를 사용할 때마다 매번 선언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냥 리스트의 이름(위의 그림의 경우 aa)을 지정하고 첨자를 통해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코드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a,b,c,d = 0,0,0,0 a = 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세요: ")) b = int(input("b의 값을 입력하세요: ")) c = int(input("c의 값을 입력하세요: ")) d = int(..

[Python] for 문, while 문 활용법

for와 while 문을 활용하여 원하는 명령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for는 반복 횟수를 지정할 수 있고 while은 특정 조건이 맞을 때까지 명령을 반복합니다. - for 문 설명 기본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for i in range(시작, 끝, 증가 수) : 예시를 볼까요? for i in range(0,4,1) : print("testing") print("") for i in range(1,4,1) : print("testing2") print("") for i in range(0,4,2) : print("testing3") print("") 그리고 굳이 시작과 증가 수를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럴 경우 시작은 0, 증가는 1로 고정입니다. for i in range(4) :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