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 Seminar/AMBA BUS

AMBA AHB (3) Slave response signal

베린이 2023. 5. 24. 10:02
반응형

Slave가 Master에 의한 transfer에 대해 HRESP signal을 통해 반응하는데요, OKAY 상태와 ERROR 상태가 있습니다.

 

0 (OKAY) : Transfer가 성공적으로 완료됨

1 (ERROR) : Transfer에 error가 있음

 

그래서 Slave source signal인 HRESP와 HREADYOUT을 통해 transfer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RESP에서 중요한 점은 ERROR 신호는 두 clock cycle 이상 내보내야 한다는 겁니다.

 

 

위 Timing diagram을 보면서 이해해봅시다.

T0 - T1 : A의 address phase가 slave로 잘 전달됨 (HREADYOUT 1, HRESP 0 - Successful transfer completed)

T1 - T2 : Slave가 wait 상태를 보냄 (0,0 - Transfer pending)

T2 - T3 : Slave가 ERROR signal을 보냄 (0,1 - ERROR response, first cycle)

T3 - T4 : Slave가 wait 상태를 끝내고 transfer 진행할 준비가 됨 (1,1 - ERROR response, second cycle)

T4 - T5 : Slave가 OKAY signal을 보냄 (1,0 - Successful transfer completed)

 

Slave는 ERROR signal을 두 번 보냄으로써 버스에 이미 실린 Address를 취소하게 됩니다.

 

< 출처 : ARM® AMBA 5 AHB Protocol Specification >

 

 

 

 

 

'Ch1 Seminar > AMBA B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BA AXI (1) Signals  (0) 2023.09.04
AMBA AHB (4) Arbitration  (0) 2023.07.17
AMBA AHB (2) Burst mode transfer  (0) 2023.05.20
AMBA AHB (1) Signals / Transfer  (0) 2023.05.20
AMBA APB (2) Slave error signal  (0) 2023.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