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Python

[Python] 연산자의 종류와 사용 예시

베린이 2023. 11. 10. 09:48
반응형

- 산술 연산자의 종류

= 대입 a = 10
+ 더하기 a = 5 + 3 (8)
- 빼기 a = 5 - 3 (2)
* 곱하기 a = 5 * 3 (15)
/ 나누기 a = 5 / 3 (1.666666) 
// a = 5 // 3 (1)
% 나머지 값 a = 5 % 3 (2)
** 제곱 a = 5 ** 3 (125)

 

일반적인 사칙연산과 마찬가지로 괄호 안의 연산을 가장 먼저 하고, 곱셈이나 나눗셈이 우선이며, 마지막으로 덧셈과 뺄셈을 하게 됩니다.

 

- 대입 연산자의 종류

+= a += 5 a = a + 5
-= a -= 5 a = a - 5
*= a *= 5 a = a * 5
/= a /= 5 a = a / 5
//= a //= 5 a = a // 5
%= a %= 5 a = a % 5
**= a **= 5 a = a ** 5

아래 예시 코드를 실행해봅시다

#변수
a, b = 0, 0

#값 입력
a = 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세요: "))

#관계연산자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b = a
b **= 3
print(b)

 

 

 

- 관계 연산자의 종류

== 같다 동일한 값이면 참
!= 다르다 다른 값이면 참
> 크다 왼쪽 값이 크면 참 (5>3)
< 작다 오른쪽 값이 크면 참 (3<5)
>= 크거나 같다 왼쪽 값이 크거나 같으면 참
<= 작거나 같다 오른쪽 값이 크거나 같으면 참

아래 예시 코드를 실행해 봅시다.

#변수
a,b = 5, 3

#관계연산자
print(a == b, a != b, a > b, a < b, a >= b, a <= b)

 

False True True False True False

실행해 보면 위의 결과가 출력됩니다.

 

- 논리 연산자의 종류

논리 연산자에는 다들 알고 있는 and, or, not이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로그인 프로그램을 작성해 봅시다.

아이디: veriln-e

비밀번호: pythoncoding

으로 설정해보겠습니다.

#변수
ID, password = "veriln-e", "pythoncoding"

#값 입력
ID_input       = input("ID: ")
password_input = input("password: ")

#로그인 시도
print("로그인 가능?", (ID_input == ID) and (password_input == password))

 

 

- 비트 연산자의 종류

마지막으로 비트 연산자에 대해 알아봅시다.

& AND 둘 다 1이면 1
| OR 둘 줄 하나라도 1이면 1
^ XOR 둘이 같으면 0, 다르면 1
~ NOT 0,1 반전
<< left shift 비트를 왼쪽으로 shift
>> rignt shift 비트를 오른쪽으로 shi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