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Python

[Python] input 활용법

베린이 2023. 11. 6. 08:53
반응형

이전 글에서 변수 a, b에 값을 입력해서 이를 통해 계산을 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2023.11.01 - [Ch1 Seminar/IP] - [Python] 1. 사칙연산 계산결과 print

 

[Python] 1. 사칙연산 계산결과 print

Python은 최근 인기가 많은 언어로 배우기가 쉽고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이트에서 파일을 받아 설치를 하면 IDLE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활용해 코딩을

veriln-e.tistory.com

 

그런데 변수의 값을 코드 내부에서 항상 일일이 바꿔야 할까요?? 함수 input을 활용하면 더 쉽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 함수 input

먼저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작성해서 Run 해봅시다. 코드를 작성할 대 tap을 누르면 더 편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a = input()
b = input()
print(a+b)

그러면 IDLE에 빈 창이 나오는데 100 enter 50 enter를 누르면 a와 b에 각각 100, 50이 입력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print가 되는데요,

 

 

보시면 print 결과가 150이 아니라 두 변수를 이어서 쓴 것 같은 값이 출력됩니다. 이는 input 된 숫자를 텍스트 형태로 인식했기 때문인데요, a와 b가 정수라고 지정해 주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수정해 보겠습니다.

a = int(input())
b = int(input())
print(a+b)

int(integer)는 이 변수가 정수형태라고 알려주는 겁니다. 이렇게 코드를 수정하고 Run을 하면 계산이 정상적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함수 input의 괄호 안에는 어떤 게 들어갈까요?? 아래 코드를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a = 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시오: "))
b = int(input("b의 값을 입력하시오: "))
print("a + b = ",a+b)
print("a - b = ",a-b)
print("a x b = ",a*b)
print("a / b = ",a/b)

 

 

input안에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어떤 값을 input 해야하는지 알 수 있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