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Python

[Python] 함수 input의 여러 형태

베린이 2023. 12. 12. 08:03
반응형

함수에는 input 값과 return 값을 지정할 수도, 지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 예시는 이전 글에서 보여드렸는데요, 다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nput 값과 return 값이 있는 함수

#함수 definition
def add(x1,x2) :
    result = 0
    result = x1 + x2
    return result

#실제 동작 코드
a = int(input("a의 값을 입력하세요: "))
b = int(input("b의 값을 입력하세요: "))

c = add(a,b)
print(c)


>> a의 값을 입력하세요: 15
>> b의 값을 입력하세요: 21
>> 36

 

2. input 값은 있고 return 값이 없는 함수

#함수 definition
def veriln_print(a) :
    print("입력된 값은",a,"입니다")


#실제 동작 코드
a = input("a의 값을 입력하세요: ")
veriln_print(a)

>> a의 값을 입력하세요: 엄마가 섬그늘에
>> 입력된 값은 엄마가 섬그늘에 입니다

 

위의 정의된 함수를 보면 input 값의 개수가 지정되어 있는데요, 만약 input 값의 개수를 모를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튜플 input

변수 앞에 *를 붙이면 함수가 입력 변수를 튜플 형태로 인식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 input 변수를 여러 개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시를 볼까요?

#함수 definition
def add(*value) :
    result = 0
    for i in value :
        result += i
    return result

#실제 동작 코드
a = add(1,2,3,4,5,6,7,8,9,10)

print(a)

>> 55

 

함수에 입력되는 변수인 value 앞에 *를 붙여서 튜플 형태로 인식시키니 변수를 일일이 선언하지 않아도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딕셔너리 input

변수 앞에 **를 붙이면 함수가 입력 변수를 딕셔너리 형태로 인식하게 됩니다.

#함수 definition
def func(**value) :
    for i in value.keys() :
        print("%s = %s원 이다" %(i, value[i]))

func(초코=2000, 과자=1500, 사탕=500)

>> 초코 = 2000원 이다
>> 과자 = 1500원 이다
>> 사탕 = 500원 이다

 

'프로그래밍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모듈에 대하여  (0) 2023.12.15
[Python] local 변수와 global 변수  (0) 2023.12.13
[Python] 함수에 대하여  (3) 2023.12.06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3  (0) 2023.12.04
[Python] 문자열에 대하여 - 2  (2) 2023.12.01